오늘 소개할 돈 버는 방법은 네이버 지식인을 통한 방법입니다.
네이버 지식인에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과 함께 네이버 지식인을 통한 지식 기부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딱히 쓸 만한 곳이 없는 내공만 주고 등급만 올려주더니 지금은 지식 기부 프로젝트를 하고 있더라고요.
지식 기부 활동을 한다고 가입을 한 후 지식 기부에 해당하는 질문에 답변을 하면 답변의 길이, 채택 여부 등에 따라 봉사 시간을 줍니다. 1년에 총 60시간을 쌓을 수 있는데, 5시간부터 공식적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을 통해 봉사시간으로 인정해줍니다. 인증서도 나와요.
대학생이시거나 봉사활동 시간이 필요하신 분들은 이 활동을 통해 온라인 봉사시간을 획득할 수 있지만, 이 글의 주제는 '온라인 돈 버는 방법'이니 그 부분에 대해 설명할게요.
교육 기부 활동하고 네이버 페이 받으세요!
정확하게 말하면 '돈'을 버는 방법은 아니지만, '네이버 페이'를 벌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요즘 네이버 페이로 쇼핑을 하거나 블로그 BGM, 이모티콘을 구매할 수 있으니 네이버 페이를 버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저번에 보니까 네이버 페이 바코드로 편의점에서 구매도 할 수 있더라고요.
교육 기부 1시간 활동하면 네이버 페이 5천원, 5시간 활동하면 인증서 발급과 네이버 페이 1만원을 준답니다. 즉, 교육 기부 활동 5시간이면 15000원을 벌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 활동은 1년에 걸쳐 하면 되는 거라서 그리 부담되진 않은 것 같아요.
돈은 1년에 한 번만 주니까 그 점 참고하시고 오로지 돈이 목적이라면 5시간만 활동하면 됩니다.
하지만 온라인을 통해 활동하면서 자투리 시간을 통해 봉사시간을 만들고 싶은 분이라면 1년에 60시간까지 쌓을 수 있다는 걸 알아두세요. 봉사 시간을 인증 받으려면 매분기가 끝난 1, 4, 7, 10월의 2~15일 사이에 인증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우선 제가 2020년 교육기부 봉사활동을 신청해서 '참여중'으로 뜨고 있고요.
답변은 총 3개 달았습니다. 그랬더니 총 봉사시간은 6분이라고 뜨네요.
답변의 길이, 채택이 되느냐 되지 않느냐에 따라 봉사시간이 다 다르게 주어집니다.
우선 답변을 달면 기본적으로 최소 1분은 줍니다. 아무리 못해도 1분은 준다는 의미예요. 하지만 답변이 너무 불성실해서 질문자의 신고를 받게 된다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죠?
여기서 답변의 길이가 길고 알차면 시간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이 일일이 체크하는 게 아니니까 우선 길게 달거나 사진이 추가된 답변이면 더 받을 수 있는데, 거기서 좀 더 받으려면 질문자의 '채택'을 받으면 됩니다. 그렇게 해서 한 답변 당 최대한 받을 수 있는 시간은 '5분'입니다.
이론적으로 생각해본다면 한 답변 당 성실하게 답을 달아 5분을 받을 수 있고, 12개의 답변만 제대로 해서 채택을 받아낸다면 '1시간'을 채울 수 있다는 거겠죠?
답변을 하다 보면 답하기 쉬운 질문도 있고, 다소 난해한 질문도 있어요. 하지만 주제나 분야에 따라 답변 시간을 다르게 측청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가장 자신 있는 분야의 문제에 정성껏 답을 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야 답변을 다는 시간이 짜증나지 않겠죠?
이제 네이버 지식인과 한국과학창의재단이 함께 하는 네이버 지식 기부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네이버 검색창에 네이버 지식인을 검색하거나 홈에 있는 지식IN을 클릭해주세요.
2. 네이버 지식인에 들어가시면 카테고리 4번째에 '지식기부'가 있습니다. 눌러주세요.
3. 네이버 지식인에서 교육기부 봉사활동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으니 꼼꼼하게 읽어주세요.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년 동안 활동할 수 있고, 답변 1개당 최대 5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1년에 최대 60시간을 채울 수 있습니다.
단, 지식IN 교육기부는 초, 중, 고등 학습과정에 대한 답변을 하는 거예요.
초, 중, 고등 학습 과정에 대해 교육 기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만 19세 이상'만 신청 가능합니다.
다 읽으셨다면 이제 동의하시면 됩니다.
짧게 활동 목적을 적어주시면 웬만하면 다 통과합니다.
교육기부 활동은 1인당 1개의 아이디로만 활동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한 명이 만들 수 있는 계정이 총 3개까지 가능하지만, 교육 기부 활동은 1개의 계정으로만 참여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생활 정보 > 돈 버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무료 이모티콘 받는 방법, 애디콘 (0) | 2020.06.15 |
---|---|
부자앱, 주식 퀴즈 맞히고 돈 벌기, 온라인 돈 벌기 (0) | 2020.06.10 |
[모바일 돈 버는 방법] 주식 퀴즈 맞히고 돈 버는 '부자앱' (0) | 2020.05.08 |
[온라인 돈 벌기 추천] 해피캠퍼스에 자료 올리고 돈 벌기 (0) | 2020.02.10 |
[적금 추천] 하나은행 연 5.01% 고금리 '하나 더 적금'으로 목돈 만들기 (0) | 2020.02.04 |
[토스 행운퀴즈] 삼성페이 다날 휴대폰 결제 이벤트 행운퀴즈 정답 (0) | 2019.11.08 |
[토스 행운퀴즈] 17일 업데이트 된 트라하의 신규 지역 이름은? (0) | 2019.10.18 |
[토스 행운퀴즈] 밀리의 서재 김영하 작가 신작 정답 (0) | 2019.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