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 및 은행 정리
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돈 버는 재테크

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 및 은행 정리

하늘연 2023. 6. 20.
728x90

청년도약계좌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출시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금리부터 예상 금액까지 정확하게 정해진 것이 없었는데, 드디어 확실하게 결정이 났습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고 있던 분들이 도움받을 수 있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

청년도약계좌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청년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을 대상으로 돈을 모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나온 적금입니다.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국방의 의무를 다했을 경우 그 기간을 고려해줍니다.

총 급여 6000만원 이하+가구 중위 소득 180% 이하의 조건일 때,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세금은 비과세입니다.

총 급여가 6000만원~7500만원 이하이면서 가구 중위 소득이 180% 이하의 조건이라면 정부 기여금은 지급하지 않으나 이자 소득은 비과세입니다.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라는 것만 해도 일반 적금에 비해 혜택이 있는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총 급여 6000만원 이하는 기여금 비율이 또 달라집니다. 납입한도는 70만원일 때입니다.

24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월 40만원, 기여금 매칭 비율 6.0% (월 기여금 한도 2.4만원)

36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월 50만원, 기여금 매칭 비율 4.6% (월 기여금 한도 2.3만원)

48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월 60만원, 기여금 매칭 비율 3.7% (월 기여금 한도 2.2만원)

60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월 70만원, 기여금 매칭 비율 3.0% (월 기여금 한도 2.1만원)

7500만원 이하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정부기여금은 지급하지 않고 이자 소득에 대해서만 비과세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80%는 2021년 기준 소득인지 2022년 기준 소득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현재 2021년 소득까지 확정이 되었고, 7월이 되어야 2022년 소득이 확정이 되니까 가입 시기에 따라 어떤 시기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지가 달라지겠죠.

저는 2022년 중위소득 기준으로 적어두겠습니다.

1인 가구 중위소득 180%: 350만원

2인 가구 중위소득 180%: 586만원

3인 가구 중위소득 180%: 755만원

4인 가구 중위소득 180%: 921만원

5인 가구 중위소득 180%: 1084만원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6월 15일부터 23일까지입니다. 6월에 처음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출생연도 끝자리로 21일까지 신청을 받고, 22~23일은 모두 가능합니다. 6월 신청을 놓쳤다면 7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신청을 할 수 있으니 이번에 놓쳤다고 해서 포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월 7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합니다.

 

6월 15일: 출생연도 끝자리 3, 8

6월 16일: 출생연도 끝자리 4, 9

6월 19일: 출생연도 끝자리 0, 5

6월 20일: 출생연도 끝자리 1, 6

6월 21일: 출생연도 끝자리 2, 7

6월 22~23일: 모두 가능

7월부터는 매월 2주 동안 상품 취급 은행에서 가입을 받습니다.

가입을 하면 2~3주 동안 심사를 거쳐 결과를 통보받을 수 있습니다.

별도의 서류없이 비대면 본인인증과 소득 확인을 통해 가입이 가능하다고 하니 은행 어플로 편하게 가입할 수 있는 듯합니다. 단, 가입은 은행 한 곳에서만 해야 합니다.

시중은행 청년도약계좌 금리
시중 은행 별 청년도약계좌 금리

시중 은행 청년도약계좌 금리

시중 은행 별로 청년도약계좌 금리가 다릅니다. 본인에게 어떤 은행이 가장 이득인지 따져서 가입하시길 추천합니다. 0.1%의 차이여도 비과세이기 때문에 만기 해지할 때 큰 차이를 느낄 수 있을 거예요.

현재 청년도약계좌 상품 취급 은행은 총 12곳입니다. SC제일은행이 24년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하니, 24년도에 신청하실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그런데 SC제일은행은 저번에 청년희망적금 때도 혼자만 늦게 출시한다고 했던 거 같은데 결국 출시했나 모르겠네요. 어쨌든 24년도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현재 신청할 수 있는 은행은 11곳이겠죠?

금리는 기본적으로 3년 고정금리에 2년 변동금리입니다.

기본금리(3년 고정)가 가장 높은 곳이 4.5%입니다. 가장 낮은 곳은 3.8%예요.

4.5%인 은행: 농협, 신한, 국민, 우리, 하나, 기업

4.0%인 은행: 대구, 부산, 경남

3.8%인 은행: 광주, 전북

소득 우대 금리는 0.5%로 모두 동일하고, 은행별로 우대 금리가 다릅니다.

최대 1.7%인 은행: 광주, 전북 (둘은 기본 금리가 낮아서 그런 거 같네요.)

최대 1.5%인 은행: 대구, 부산, 경남

최대 1.0%인 은행: 농협, 신한, 국민, 우리, 하나, 기업

 

대체적으로 기본금리가 높을수록 우대 금리가 낮습니다. 뭐 당연한 거겠죠? 본인 우대 사항 확인하고 우대 받을 게 없는 거 같다 하시면 기본 금리 높은 곳으로 가세요.

 

참고로 개인 소득 요건을 1년 주기로 심사하니까 그 점도 알고 계세요. 가입 이후에 소득이 증가한 걸로 가입 취소는 되지 않습니다. 심사 기간이 3주 정도라고 하니까 이후 소득이 증가할 예정이신 분들은 미리 가입해두시는 걸 추천합니다. 1년 주기로 심사해서 이율이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신청이 취소되진 않으니까요.

728x90

댓글